국민내일배움카드로 국비지원 엑셀 교육
컴퓨터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엑셀 기초 강의가 국민내일배움카드로 국비지원! 북부여성발전센터에서 진행되는 본 과정은 실무에 꼭 필요한 엑셀 기능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입니다. 신청 방법부터 자부담금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목차
- 엑셀 기초 강의 개요
- 교육 대상 및 신청 자격
- 수강신청 방법 – 카드 소지자 & 비소지자
- 교육 기간 및 시간표
- 수강료 및 자부담 안내
- 국민내일배움카드 제도란?
- 마무리 및 문의처
1. 엑셀 기초 강의 개요
엑셀은 사무직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로 요구되는 문서 작성 도구입니다. 하지만 막상 배워보려고 하면 전문 용어나 복잡한 수식 때문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북부여성발전센터에서는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활용한 국비지원 과정 “쉽게 배우는 엑셀 기초” 수업을 개설하였습니다. 엑셀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과정은 총 8주, 32시간에 걸쳐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기능들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2. 교육 대상 및 신청 자격
누가 들을 수 있나요?
- 국민내일배움카드 소지자
- 카드 미소지 일반인도 가능!
- 단, 수강 기간 중 다른 국비지원과정 수강 예정자는 신청 불가
기초 컴퓨터 활용 역량은 필수입니다.
- 인터넷 검색, 키보드 및 마우스 사용, 파일 저장/열기/폴더 만들기 수준 이상
💡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문의: 가까운 고용센터 또는 www.work24.go.kr
3. 수강신청 방법
국민내일배움카드 소지자
- 고용24 홈페이지 → '북부여성발전센터' 검색 → ‘쉽게 배우는 엑셀(기초)’ 수강신청 클릭
- 북부여성발전센터 홈페이지에서 수강신청서 및 체크리스트 다운로드 후 이메일 제출
📧 bukbu842@naver.com - 자격 및 자부담금 확인 후 개별 연락
- 자부담금이 있을 경우 내일배움카드로 결제
카드 미소지자
- 홈페이지에서 수강신청서 및 사전평가지 다운로드 후 이메일 제출
- 결제 문자 수신 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결제 진행
📌 수강신청은 선착순 22명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둘러 주세요!
4. 교육 기간 및 시간표
- 교육기간: 2025년 4월 5일(토) ~ 5월 31일(토)
- 수업시간: 매주 토요일 09:30 ~ 13:30 (총 8회, 32시간)
- 휴강일: 5월 3일(토)
- 개강일에 교재 지급
5. 수강료 및 자부담금 안내
총 교육비는 **192,000원(교재비 포함)**이며, 개인 상황에 따라 자부담 비율이 달라집니다.

※ 국민내일배움카드 소지자의 경우, 자부담은 카드로만 결제 가능하며 잔액 확인 필수
6. 국민내일배움카드 제도란?
2020년부터 통합된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실업자와 재직자 구분 없이 누구나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한 번 발급 시 5년간 사용 가능하며, 다양한 교육 과정을 국비지원으로 수강할 수 있어 실무능력 향상이나 이직 준비에 매우 유용합니다.
📢 발급 신청은 고용24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고용센터에서 가능하며, 발급까지 시일이 소요되니 여유 있게 준비하세요!
7. 문의처
엑셀을 제대로 배워보고 싶었지만 기회가 없었던 분들, 막막했던 분들에게 이번 과정은 최고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한 기능을 넘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엑셀 활용 능력을 키워보세요!
📍 교육장소: 북부여성발전센터 1층 교육팀 (7호선 중계역 4번 출구 도보 5분)
📞 문의전화: 02-3399-7609
📧 이메일: bukbu842@naver.com
'생활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으로 AI 쉽게 사용하는 법: 중장년층을 위한 Gemini 모든 것 (0) | 2025.04.05 |
---|---|
50.60대 이상도 쉽게 만드는 카톡 프사 만화! ChatGPT로 지브리 스타일 프로필 사진 만들기 (0) | 2025.04.04 |
국민내일배움카드 온라인 신청 방법 총정리! 2025년 (5) | 2025.03.21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가이드 (0) | 2025.03.20 |
60대도 가능한 시청·구청 공공근로 완벽 가이드 (2025년 최신) | 시니어 일자리 추천 (3) | 2025.03.17 |